모로코의 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이드리스 왕조 (788년–974년)
- 2.1. 이드리스 1세 (788년–791년)
- 2.2. 이드리스 2세 (803년–828년)
- 2.3.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 (828년–836년)
- 2.4. 알리 이븐 무함마드 (알리 1세, 836년–848년)
- 2.5. 야흐야 이븐 무함마드 (야흐야 1세, 848년–864년)
- 2.6. 야흐야 이븐 야흐야 (야흐야 2세, 864년–874년)
- 2.7. 알리 이븐 우마르 (알리 2세, 874년–883년)
- 2.8. 야흐야 이븐 알-카심 (야흐야 3세, 880년–904년)
- 2.9. 야흐야 이븐 이드리스 이븐 우마르 (야흐야 4세, 904년–917년)
- 2.10. 하산 이븐 무함마드 (하산 1세, 925년–927년)
- 2.11. 알-카심 구엔눈 (937년–948년)
- 2.12. 아불-아이스 아흐마드 (948년–954년)
- 2.13. 알-하산 이븐 칸눈 (하산 2세, 954년–974년)
- 3. 알모라비드 왕조 (1040년–1147년)
- 4. 알모아드 왕조 (1121년–1269년)
- 4.1. 이븐 투마르트 (1121년–1139년)
- 4.2. 압드 알-무민 (1133년–1163년)
- 4.3. 아부 야쿠브 유수프 (1163년–1184년)
- 4.4. 야쿠브 알-만수르 (1184년–1199년)
- 4.5. 무함마드 알-나시르 (1199년–1213년)
- 4.6. 유수프 2세 (1213년–1224년)
- 4.7. 압드 알-와히드 1세 (1224년)
- 4.8. 압달라 알-아딜 (1224년–1227년)
- 4.9. 야흐야 알-무타심 (1227년–1229년)
- 4.10. 이드리스 알-마문 (1229년–1232년)
- 4.11. 압드 알-와히드 2세 (1232년–1242년)
- 4.12. 아부 알-하산 아스-사이드 알-무타디드 (1242년–1248년)
- 4.13. 아부 하프스 우마르 알-무르타다 (1248년–1266년)
- 4.14. 이드리스 알-와티크 (1266년–1269년)
- 5. 마리니드 왕조 (1195년–1465년)
- 5.1. 압드 알-하크 1세 (1195년–1217년)
- 5.2. 우트만 이븐 압드 알-하크 (1217년–1240년)
- 5.3.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하크 (1240년–1244년)
- 5.4. 아부 야흐야 이븐 압드 알-하크 (1244년–1258년)
- 5.5. 아부 유수프 야쿱 이븐 압드 알-하크 (1258년–1286년)
- 5.6. 아부 야쿱 유수프 안-나스르 (1286년–1307년)
- 5.7. 아부 사비트 '아미르 (1307년–1308년)
- 5.8. 아부 알-라비 술라이만 (1308년–1310년)
- 5.9. 아부 사이드 우스만 2세 (1310년–1331년)
- 5.10. 아부 알-하산 알리 이븐 우스만 (1331년–1348년)
- 5.11. 아부 이난 파리스 (1348년–1358년)
- 5.12. 아부 바크르 이븐 파리스 (1358년-1359년)
- 5.13. 이브라힘 이븐 알리 (1359년-1361년)
- 5.14. 타슈핀 이븐 알리 (1361년-1362년)
- 5.15. 무함마드 2세 이븐 파리스 (1362년-1366년)
- 5.16.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1세 (1366년-1372년)
- 5.17. 무함마드 3세 이븐 압드 알-아지즈 (1372년-1374년)
- 5.18.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알-무스탄시르 (1374년–1393년)
- 5.19. 무사 이븐 파리스 알-무타와킬 (1384년–1386년)
- 5.20.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 알-와티크 (1386년–1387년)
- 5.21. 압드 알-아지즈 2세 이븐 아흐마드 2세 (1394년-1396년)
- 5.22. 압달라 이븐 아흐마드 2세 (1396년–1398년)
- 5.23. 아부 사이드 우스만 3세 (1398년–1420년)
- 5.24. 압드 알-하크 2세 (1420년–1465년)
- 6. 와타시드 왕조 (1472년–1554년)
- 7. 사디 왕조 (1544년–1659년)
- 7.1. 무함마드 알-셰이크 (1544년–1557년)
- 7.2. 압달라 알-갈리브 (1557년–1574년)
- 7.3.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2세 (1574년–1576년)
- 7.4.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1세 (1576년–1578년)
- 7.5. 아흐마드 알-만수르 (1578년–1603년)
- 7.6. 아부 파리스 압달라 (1603년–1608년, 마라케시에서 통치)
- 7.7. 무함마드 에쉬 셰이크 엘 마문 (1603년–1613년, 페스에서 통치)
- 7.8. 지단 아부 마알리 (1603년–1627년, 마라케시에서 통치)
- 7.9. 압달라 알-갈리브 2세 (1606년-1623년, 페스에서 통치)
- 7.10. 압드 알-말리크 이븐 압달라 (1623년–1627년, 페스에서 통치)
- 7.11.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2세 (1627년–1631년)
- 7.12. 알 왈리드 벤 지단 (1631년–1636년)
- 7.13. 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 (1636년–1655년)
- 7.14. 아흐마드 알-아바스 (1655년–1659년)
- 8. 알라위 왕조 (1631년–현재)
- 8.1. 샤리프 이븐 알리 (1631년-1636년)
- 8.2. 무함마드 이븐 샤리프 (무함마드 1세, 1636년-1664년)
- 8.3. 알-라시드 오브 모로코 (1666년-1672년)
- 8.4. 이스마일 이븐 샤리프 (1672년-1727년)
- 8.5. 아부알 아바스 아흐마드 오브 모로코 (1차 재위, 1727년-1728년)
- 8.6. 압드 알-말리크 오브 모로코 (1728년)
- 8.7. 아부알 아바스 아흐마드 오브 모로코 (2차 재위, 1728년-1729년)
- 8.8. 압달라 오브 모로코 (1차 재위, 1729년-1734년)
- 8.9. 알리 오브 모로코 (1734년-1736년)
- 8.10. 압달라 오브 모로코 (2차 재위, 1736년)
- 8.11. 무함마드 2세 오브 모로코 (1736년-1738년)
- 8.12. 알-모스타디 오브 모로코 (1차 재위, 1738년-1740년)
- 8.13. 압달라 오브 모로코 (3차 재위, 1740년-1741년)
- 8.14. 진 알-아비딘 오브 모로코 (1741년)
- 8.15. 압달라 오브 모로코 (4차 재위, 1741년-1742년)
- 8.16. 알-모스타디 오브 모로코 (2차 재위, 1742년-1743년)
- 8.17. 압달라 오브 모로코 (5차 재위, 1743년-1747년)
- 8.18. 알-모스타디 오브 모로코 (3차 재위, 1747년-1748년)
- 8.19. 압달라 오브 모로코 (6차 재위, 1748년-1757년)
- 8.20. 무함마드 벤 압달라 (무함마드 3세, 1757년-1790년)
- 8.21. 야지드 오브 모로코 (1790년-1792년)
- 8.22. 슬리만 오브 모로코 (1792년-1822년)
- 8.23. 압드 알-라흐만 오브 모로코 (1822년-1859년)
- 8.24. 무함마드 4세 오브 모로코 (1859년-1873년)
- 8.25. 하산 1세 오브 모로코 (1873년-1894년)
- 8.26. 압델아지즈 오브 모로코 (1894년-1908년)
- 8.27. 압드 알-하피드 오브 모로코 (1908년-1912년)
- 8.28. 유세프 오브 모로코 (1912년-1927년)
- 8.29. 무함마드 5세 오브 모로코 (1차 재위, 1927년-1953년)
- 8.30. 무함마드 벤 아라파 (1953년-1955년)
- 8.31. 무함마드 5세 오브 모로코 (2차 재위, 1955년-1961년)
- 8.32. 하산 2세 오브 모로코 (1961년-1999년)
- 8.33. 무함마드 6세 오브 모로코 (1999년-현재)
- 참조
1. 개요
모로코의 군주는 모로코를 통치한 군주들에 대한 목록이다. 모로코는 이드리스 왕조, 알모라비드 왕조, 알모아드 왕조, 마리니드 왕조, 와타시드 왕조, 사디 왕조, 알라위 왕조 등 여러 왕조를 거쳤다. 알라위 왕조는 1631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샤리프 이븐 알리가 시조이다. 현재 모로코의 국왕은 무함마드 6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로코의 군주 | |
---|---|
기본 정보 | |
국왕 | 알라위 왕조 제3대 국왕 무함마드 6세 |
즉위일 | 1999年7月23日 |
후계자 | 물라이 하산 왕세자 |
초대 군주 | 이드리스 1세 (이드리스 왕조) 라시드 (알라위 왕조) |
즉위 시기 | 789年 (이드리스 왕조) 1666年 (알라위 왕조) |
거주지 | 다르 알-마크젠(라바트) |
정치 | |
정치 체제 | 왕국 |
선거 | |
의회 | 2011년 2016년 2021년 |
2. 이드리스 왕조 (788년–974년)
이름 | 아랍어 이름 | 생몰년 | 재위 기간 | 비고 |
---|---|---|---|---|
이드리스 1세 | إدريس بن عبد اللهara | 745년 – 791년 | 788년 – 791년 | 모로코의 초대 에미르 |
이드리스 2세 | إدريس بن إدريسara | 791년 8월 – 828년 | 803년 – 828년 | 이드리스 1세의 아들 |
무함마드 벤 이드리스 | محمد بن إدريسara | ? – 836년 | 828년 – 836년 | 이드리스 2세의 아들 |
알리 1세 | علي بن محمدara | 827년 – 848년 | 836년 – 848년 | 무함마드 벤 이드리스의 아들 |
야흐야 1세 | يحيى بن محمدara | 829년 – 864년 | 848년 – 864년 | 무함마드 벤 이드리스의 아들 |
야흐야 2세 | يحيى بن يحيىara | ? – 874년 | 864년 – 874년 | 야흐야 1세의 아들 |
알리 2세 | علي بن عمرara | ? – 883년 | 874년 – 883년 | 야흐야 1세의 삼촌 |
야흐야 3세 | يحيى بن القاسمara | ? – 904년 | 880년 – 904년 | 알리 2세의 사촌 |
야흐야 4세 | يحيى بن إدريسara | ? – 917년 | 904년 – 917년 | 알리 2세의 손자. 이후 파티마 왕조의 간섭기 시작. |
하산 1세 | الحسن بن محمدara | ? – 944년 | 925년 – 927년 | 야흐야 3세의 조카. 파티마 왕조 간섭기 사이 재위. |
알-카심 벤 이브라힘 | القاسم بن ابراهيمara | ? – 948년 | 937년 – 948년 | 하산 1세의 사촌. 파티마 왕조 간섭 이후 재건 시도. |
아흐마드 벤 알-카심 | أحمد بن القاسمara | ? – 954년 | 948년 – 954년 | 알-카심 벤 이브라힘의 아들 |
하산 2세 | الحسن بن القاسمara | ? – 985년 | 954년 – 974년 | 아흐마드 벤 알-카심의 형제 |
2. 1. 이드리스 1세 (788년–791년)
이드리스 1세 (아랍어: إدريس بن عبد الله|이드리스 빈 압달라ara, 745년 ~ 791년)는 788년부터 791년까지 재위한 모로코의 초대 에미르이며, 이드리시 왕조를 창건하였다.2. 2. 이드리스 2세 (803년–828년)
'''이드리스 벤 이드리스'''(إدريس بن إدريس|이드리스 빈 이드리스ara), 또는 이드리스 2세는 791년 8월에 태어나 828년에 사망한 이드리시 왕조의 군주이다. 그는 이드리스 벤 압달라(이드리스 1세)의 아들이며, 803년부터 828년까지 재위하였다.2. 3.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 (828년–836년)
'''무함마드 벤 이드리스'''(محمد بن إدريس|무함마드 빈 이드리스ara)는 이드리시 왕조의 세 번째 에미르로, 828년부터 836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렸다. 그는 836년에 사망했으며, 이드리시 왕조의 두 번째 군주인 이드리스 벤 이드리스(이드리스 2세)의 아들이다.2. 4. 알리 이븐 무함마드 (알리 1세, 836년–848년)
알리 벤 무함마드(علي بن محمد|알리 빈 무함마드ara, 827년 ~ 848년)는 이드리시 왕조의 제4대 에미르로, 알리 1세라고도 불린다. 그는 836년부터 848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렸으며, 선대 에미르인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의 아들이다.2. 5. 야흐야 이븐 무함마드 (야흐야 1세, 848년–864년)
'''야흐야 벤 무함마드'''(يحيى بن محمد|야흐야 벤 무함마드ara, 829년 ~ 864년)는 이드리시 왕조의 에미르로, '''야흐야 1세'''라고도 불린다. 그는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의 아들이며, 848년부터 864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렸다.2. 6. 야흐야 이븐 야흐야 (야흐야 2세, 864년–874년)
'''야흐야 이븐 야흐야'''(يحيى بن يحيى|야흐야 벤 야흐야ara)는 이드리시 왕조의 여섯 번째 군주로, 야흐야 이븐 무함마드의 아들이다. 그는 864년부터 874년 사망할 때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2. 7. 알리 이븐 우마르 (알리 2세, 874년–883년)
'''알리 이븐 우마르'''(علي بن عمر|알리 빈 우마르ara)는 이드리시 왕조의 군주로, 야흐야 이븐 무함마드(야흐야 1세)의 삼촌이다. 그는 874년부터 883년 사망할 때까지 모로코를 다스렸다.2. 8. 야흐야 이븐 알-카심 (야흐야 3세, 880년–904년)
'''야흐야 이븐 알-카심'''(야흐야 3세, يحيى بن القاسم|야흐야 빈 알카심ara)은 이드리시 왕조의 군주로, 880년부터 904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렸다. 그는 알리 이븐 우마르(알리 2세)의 사촌이었으며, 904년에 사망했다.2. 9. 야흐야 이븐 이드리스 이븐 우마르 (야흐야 4세, 904년–917년)
'''야흐야 이븐 이드리스 이븐 우마르'''(يحيى بن إدريسara)는 이드리시 왕조의 아홉 번째 에미르로, '''야흐야 4세'''로도 불린다. 그는 917년에 사망했으며, 904년부터 917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그는 알리 이븐 우마르(알리 2세)의 손자이다. 그의 통치 이후 이드리시 왕조는 파티마 왕조의 총독 무사 이븐 아비 알-아피야에 의해 잠시 통치되는 시기를 거쳤다.2. 10. 하산 이븐 무함마드 (하산 1세, 925년–927년)
알-하산 알-하잠 이븐 무함마드 이븐 알-카심(الحسن بن محمد|알-하산 이븐 무함마드ar), 또는 하산 1세는 이드리시 왕조의 통치자이다. 그는 야흐야 이븐 알-카심의 조카였으며, 944년에 사망했다. 925년부터 927년까지 재위하였는데, 이는 파티마 왕조 총독 무사 이븐 아비 알-아피야에 의한 통치 시기 사이에 해당한다.2. 11. 알-카심 구엔눈 (937년–948년)
'''알-카심 구엔눈'''(القاسم بن ابراهيمara, Al-Qasim Guennoun)은 이드리시 왕조의 술탄으로, 937년부터 948년까지 모로코의 일부 지역을 다스렸다. 기록에 따라 '''알-카심 벤 이브라힘''' 또는 '''알-카심 간눈 이븐 무함마드 이븐 알-카심'''으로도 표기된다.그는 이전 술탄이었던 하산 1세의 사촌이다. 하산 1세가 927년 퇴위한 후 약 10년간 파티마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나, 알-카심 구엔눈은 937년(또는 938년) 다시 이드리시 왕조의 통치를 회복하며 술탄 자리에 올랐다.
948년(또는 949년) 사망하였으며, 그의 아들인 아흐마드 벤 알-카심이 뒤를 이어 술탄이 되었다.
2. 12. 아불-아이스 아흐마드 (948년–954년)
아불-아이스 아흐마드(أحمد بن القاسم|아흐마드 빈 알카심ara)는 이드리시 왕조의 술탄으로, 948년부터 954년 사망할 때까지 모로코의 일부 지역을 통치했다. 그는 전임 술탄인 알-카심 구엔눈의 아들이었다. 다른 이름으로는 아부 알-아이슈 아마드 이븐 알-카심 간눈 또는 아마드 1세로도 불린다.2. 13. 알-하산 이븐 칸눈 (하산 2세, 954년–974년)
'''알-하산 이븐 칸눈'''(الحسن بن القاسم|알-하산 이븐 알-카심ara) 또는 '''하산 2세'''는 이드리시 왕조의 군주이다. 그는 954년부터 974년까지 재위했으며, 985년에 사망했다. 그는 아불-아이스 아흐마드의 형제이다.3. 알모라비드 왕조 (1040년–1147년)
알모라비드 왕조는 베르베르족이 세운 왕조로, 1040년부터 1147년까지 모로코를 중심으로 마그레브 지역과 알안달루스(이베리아 반도 남부) 일부를 통치했다.
아래는 알모라비드 왕조의 군주 목록이다.
군주 | 재위 기간 | 비고 |
---|---|---|
압달라 이븐 야신 | 1040년–1059년 | 알모라비드 왕조 창시자 및 초대 지도자 |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 | 1056년–1072년 | 알모라비드 왕조 2대 지도자 |
유수프 이븐 타슈핀 | 1072년–1106년 | 아미르 알-무슬리민 (무슬림들의 사령관) |
알리 이븐 유수프 | 1106년–1143년 | 유수프 이븐 타슈핀의 아들 |
타슈핀 이븐 알리 | 1143년–1145년 | 모로코의 아미르 |
이브라힘 이븐 타슈핀 | 1146년–1147년 | 알모라비드 왕조 7대 왕 |
이스하크 이븐 알리 | 1147년 | 알모라비드 왕조 마지막 지도자 |
3. 1. 압달라 이븐 야신 (1040년–1059년)
압달라 이븐 야신은 모로코의 알모라비드 왕조의 창시자이자 초대 지도자이다. 그는 1040년부터 1059년까지 재위했으며, 1059년 7월 7일에 사망했다.3. 2.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 (1056년–1072년)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 Abu Bakr ibn Umareng는 모로코의 알모라비드 왕조의 두 번째 지도자이다. 그는 1056년부터 1072년까지 재위했으며, 1087년에 사망했다.3. 3. 유수프 이븐 타슈핀 (1072년–1106년)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알모라비드 왕조의 군주로, 1072년부터 1106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아미르 알-무슬리민"(무슬림들의 사령관)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1106년 마라케시에서 사망했다.3. 4. 알리 이븐 유수프 (1106년–1143년)
알리 이븐 유수프(1084년 – 1143년 1월 26일)는 알모라비드 왕조의 군주로, 유수프 이븐 타슈핀의 아들이다. 그는 1106년부터 1143년까지 재위했다.3. 5. 타슈핀 이븐 알리 (1143년–1145년)
알모라비드 왕조의 아미르이다. 알리 이븐 유수프의 뒤를 이어 1143년부터 1145년까지 재위했다. 1145년 3월 23일 또는 25일에 사망했으며, 이후 이브라힘 이븐 타슈핀이 왕위를 계승했다.3. 6. 이브라힘 이븐 타슈핀 (1146년–1147년)
Ibrahim ibn Tashfin|이브라힘 이븐 타슈핀eng은 알모라비드 왕조의 일곱 번째 왕이다. 그는 1146년부터 1147년까지 재위했으며, 1147년에 사망했다.3. 7. 이스하크 이븐 알리 (1147년)
'''이스하크 이븐 알리'''(إسحاق بن علي|이스하크 이븐 알리ar)는 모로코 알모라비드 왕조의 마지막 지도자였다. 그는 1147년 짧은 기간 동안 재위하였으며, 같은 해 4월에 사망하였다.4. 알모아드 왕조 (1121년–1269년)
알모아드 왕조는 베르베르족이 세운 왕조이다.
군주 | 재위 기간 | 비고 |
---|---|---|
이븐 투마르트 | 1121년 ~ 1139년 | 초대 알모아드 지도자 |
압드 알-무민 | 1133년 ~ 1163년 | |
아부 야쿠브 유수프 | 1163년 ~ 1184년 | 2대 알모아드 에미르 |
야쿠브 알-만수르 | 1184년 ~ 1199년 | 3대 알모아드 칼리프 |
무함마드 알-나시르 | 1199년 ~ 1213년 | 4대 알모아드 칼리프 |
유수프 2세 | 1213년 ~ 1224년 | 무함마드 알-나시르의 아들 |
압드 알-와히드 1세 | 1224년 2월 ~ 9월 | 아부 야쿠브 유수프의 아들 |
압달라 알-아딜 | 1224년 9월 ~ 1227년 10월 4일 | 전 알안달루스 총독 |
야흐야 알-무타심 | 1227년 ~ 1229년 | 무함마드 알-나시르의 아들 |
이드리스 알-마문 | 1229년 ~ 1232년 | 야쿠브 알-만수르의 아들 |
압드 알-와히드 2세 | 1232년 ~ 1242년 | 라이벌 칼리프 |
Abu al-Hasan as-Said al-Mutadideng | 1242년 ~ 1248년 | 압드 알-와히드 2세의 형제, 모로코 일부 통치 |
Abu Hafs Umar al-Murtadaeng | 1248년 ~ 1266년 | 모로코 일부 통치 |
Idris al-Wathiqeng | 1266년 ~ 1269년 | 마라케시 통치 |
4. 1. 이븐 투마르트 (1121년–1139년)
'''이븐 투마르트''' (1080년 ~ 1130년)는 알모아드 왕조의 초대 지도자였다. 그는 1121년부터 1139년까지 재위했다.4. 2. 압드 알-무민 (1133년–1163년)
'''압드 알-무민'''(1094년 ~ 1163년)은 알모아드 왕조의 일원으로, 1133년부터 1163년까지 재위했다.4. 3. 아부 야쿠브 유수프 (1163년–1184년)
아부 야쿠브 유수프 1세(1135년 ~ 1184년)는 알모아드 왕조의 2대 에미르이다. 그는 1163년부터 1184년까지 통치했다.4. 4. 야쿠브 알-만수르 (1184년–1199년)
야쿠브 알-만수르(1160년 ~ 1199년 1월 23일)는 알모아드 왕조의 3대 칼리프로, 1184년부터 1199년까지 재위하였다.4. 5. 무함마드 알-나시르 (1199년–1213년)
'''무함마드 알-나시르'''( ? ~ 1213년)는 알모아드 왕조의 4번째 칼리프이다. 그는 1199년부터 1213년 사망할 때까지 알모아드 칼리파국을 통치했다.4. 6. 유수프 2세 (1213년–1224년)
유수프 2세(1203년 ~ 1224년)는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로, 1213년부터 1224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제4대 알모아드 칼리프였던 무함마드 알-나시르의 아들이다.4. 7. 압드 알-와히드 1세 (1224년)
압드 알-와히드 1세는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이다. 그는 '마흐루'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그는 알모아드 왕조의 위대한 정복자이자 2대 에미르였던 아부 야쿠브 유수프의 아들이다. 1224년 2월에 칼리프가 되었으나, 같은 해 9월에 사망하였다.4. 8. 압달라 알-아딜 (1224년–1227년)
'''압달라 알-아딜'''(أبو محمد عبد الله العادل|아부 무함마드 압달라 알-아딜ara, ? ~ 1227년 10월 4일)은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로, 1224년 9월부터 1227년 10월 4일까지 재위했다. 그는 칼리프가 되기 전에 알안달루스의 총독을 지냈다.4. 9. 야흐야 알-무타심 (1227년–1229년)
야흐야 알-무타심(أبو زكرياء المعتصم يحي بن الناصر|아부 자카리야 알-무타심 야흐야 빈 알-나시르ar, ? ~ 1236년)은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로, 1227년부터 1229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무함마드 알-나시르의 아들이며 유수프 2세의 형제였다. 1236년에 사망했다.4. 10. 이드리스 알-마문 (1229년–1232년)
'''이드리스 알-마문'''은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로, 1229년부터 1232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알모아드 왕조의 3대 칼리프였던 야쿠브 알-만수르의 아들이며, 1232년 10월 16일 또는 17일에 사망했다.4. 11. 압드 알-와히드 2세 (1232년–1242년)
압드 알-와히드 2세( Abd al-Wahid II|압드 알-와히드ara )는 라시드( Rashid|라시드ara )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232년부터 1242년 12월 4일 사망할 때까지 알모아드 왕조를 통치한 칼리프이다. 그는 당시 왕조 내 다른 경쟁자와 대립하던 '라이벌 칼리프'였다.4. 12. 아부 알-하산 아스-사이드 알-무타디드 (1242년–1248년)
Abu al-Hasan as-Said al-Mutadid|아부 알-하산 아스-사이드 알-무타디드영어는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로, 1242년부터 1248년 6월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그는 형제인 압드 알-와히드 2세를 계승했으며, 그의 통치 시기에는 알모아드 왕조가 모로코 영토의 일부만을 통제하고 있었다.4. 13. 아부 하프스 우마르 알-무르타다 (1248년–1266년)

아부 하프스 우마르 알-무르타다(أبو حفص عمر المرتضى|아부 하프스 우마르 알 무르타다ara)는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로, 1248년부터 1266년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그의 통치 시기에는 알모아드 왕조의 세력이 약화되어 현재 모로코 영토의 일부만을 다스렸다.
4. 14. 이드리스 알-와티크 (1266년–1269년)
Idris al-Wathiq|이드리스 알-와티크영어는 알모아드 왕조의 칼리프로, 1266년부터 사망하는 1269년까지 마라케시에서 통치했다.5. 마리니드 왕조 (1195년–1465년)
마리니드 왕조는 베르베르족이 세운 왕조로, 1195년부터 1465년까지 현재의 모로코 지역을 중심으로 통치했다. 주요 군주와 재위 기간은 다음과 같다.
군주 | 재위 기간 | 생몰년 | 비고 |
---|---|---|---|
압드 알-하크 1세 | 1195년 – 1217년 | 1147년 – 1217년 | 초대 마리니드 지도자 |
우트만 이븐 압드 알-하크 | 1217년 – 1240년 | 1196년 – 1240년 | 셰이크 |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하크 | 1240년 – 1244년 | 1202년 – 1244년 | 셰이크 |
아부 야흐야 이븐 압드 알-하크 | 1244년 – 1258년 | ? – 1258년 | 아미르 |
아부 유수프 야쿱 이븐 압드 알-하크 | 1258년 – 1286년 | ? – 1286년 3월 20일 | 초대 마리니드 술탄 |
아부 야쿱 유수프 안-나스르 | 1286년 3월 – 1307년 5월 13일 | ? – 1307년 5월 13일 | 아부 유수프 야쿱의 아들 |
아부 사비트 '아미르 | 1307년 5월 – 1308년 7월 | 1284년 – 1308년 | 아부 야쿱 유수프의 아들 |
아부 알-라비 술라이만 | 1308년 – 1310년 | 1289년 3월 – 1310년 11월 23일 | 아부 야쿱 유수프의 아들 또는 손자 |
아부 사이드 우스만 2세 | 1310년 11월 – 1331년 8월 | 1276년 12월 – 1331년 8월 | 아부 야쿱 유수프의 아들 |
아부 알-하산 알리 이븐 우스만 | 1331년 8월 – 1348년 | 1297년 – 1351년 | 아부 사이드 우스만 2세의 아들 |
아부 이난 파리스 | 1348년 – 1358년 | 1329년 – 1358년 1월 10일 | 아부 알-하산 알리의 아들 |
아부 바크르 이븐 파리스 | 1358년 – 1359년 | ? – 1359년 | 술탄 |
이브라힘 이븐 알리 | 1359년 – 1361년 | 1335년 – 1361년 | 술탄 (일부 기록에서는 아부 살림 알리 2세) |
타슈핀 이븐 알리 | 1361년 – 1362년 | 1329년 – 1362년 | 술탄 (일부 기록에서는 아부 우마르 타슈핀) |
무함마드 2세 이븐 파리스 | 1362년 – 1366년 | 1338년 – 1366년 | 술탄 (일부 기록에서는 아부 사이얀 무함마드 3세) |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1세 | 1366년 – 1372년 | 1349년 – 1372년 | 술탄 |
무함마드 3세 이븐 압드 알-아지즈 | 1372년 – 1374년 | 1368년 – 1374년 |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1세의 아들 |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알-무스탄시르 | 1374년 – 1393년 | ? – 1393년 |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1세의 아들 (1384년-1387년 사이 무사, 무함마드와 경쟁 또는 공동 통치 가능성 있음) |
무사 이븐 파리스 알-무타와킬 | 1384년 – 1386년 | ? – 1386년 | 아부 이난 파리스의 아들 (아흐마드와 경쟁 또는 공동 통치) |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 알-와티크 | 1386년 – 1387년 | ? – 1387년 | 술탄 (아흐마드와 경쟁 또는 공동 통치, 일부 기록에서는 무함마드 5세) |
압드 알-아지즈 2세 이븐 아흐마드 2세 | 1394년 – 1396년 | 1375년 – 1396년 | 술탄 (아흐마드 사후) |
압달라 이븐 아흐마드 2세 | 1396년 – 1398년 | 1378년 – 1398년 | 압드 알-아지즈 2세의 형제 |
아부 사이드 우스만 3세 | 1398년 3월 19일 – 1420년 10월 21일 | 1383년 – 1420년 10월 21일 | 압달라의 형제 |
압드 알-하크 2세 | 1420년 10월 – 1465년 8월 14일 | 1419년 – 1465년 8월 14일 | 마지막 마리니드 통치자 |
5. 1. 압드 알-하크 1세 (1195년–1217년)
압드 알-하크 1세(1147년 ~ 1217년)는 마리니드 왕조의 창시자이자 초대 지도자이다. 그는 1195년부터 사망하는 1217년까지 마리니드 왕조를 이끌었다.5. 2. 우트만 이븐 압드 알-하크 (1217년–1240년)
'''우트만 이븐 압드 알-하크'''(Uthman ibn Abd al-Haqq, 1196년 ~ 1240년)는 마리니드 왕조 출신으로, 1217년부터 1240년까지 모로코의 셰이크였다.5. 3.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하크 (1240년–1244년)
마리니드 왕조의 세 번째 지도자로, 1202년에 태어나 1244년에 사망했다. 그의 형제인 우트만 이븐 압드 알-하크의 뒤를 이어 1240년부터 1244년까지 모로코의 셰이크로서 통치하였다. 그의 사후에는 동생인 아부 야흐야 이븐 압드 알-하크가 왕위를 계승했다.5. 4. 아부 야흐야 이븐 압드 알-하크 (1244년–1258년)
아부 야흐야 이븐 압드 알-하크는 마리니드 왕조 출신으로, 1244년부터 1258년까지 모로코의 아미르로 재위했다. 그는 1258년에 사망했다.5. 5. 아부 유수프 야쿱 이븐 압드 알-하크 (1258년–1286년)
마리니드 왕조 출신인 '''아부 유수프 야쿱 이븐 압드 알-하크'''는 1258년부터 1286년 3월 20일 사망할 때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그는 모로코의 초대 마리니드 술탄으로 기록된다.5. 6. 아부 야쿱 유수프 안-나스르 (1286년–1307년)
아부 야쿱 유수프 안-나스르는 마리니드 왕조의 군주로, 아부 유수프 야쿱 이븐 압드 알-하크의 아들이다. 1286년 3월부터 1307년 5월 13일까지 재위하였으며, 1307년 5월 13일에 사망하였다.5. 7. 아부 사비트 '아미르 (1307년–1308년)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 아부 사비트 '아미르는 1284년에 태어나 1308년에 사망했다. 그의 재위 기간은 1307년 5월부터 1308년 7월까지였다. 그는 전임 술탄인 아부 야쿱 유수프 안-나스르의 아들이다.5. 8. 아부 알-라비 술라이만 (1308년–1310년)
'''아부 알-라비 술라이만'''(أبو الربيع سليمان|아부 알라비 술라이만ar, 1289년 3월 – 1310년 11월 23일)은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1308년부터 1310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렸다. 그는 아부 야쿱 유수프의 아들이거나 손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전임자는 아부 사비트 '아미르이며, 후임자는 아부 사이드 우스만 2세이다.5. 9. 아부 사이드 우스만 2세 (1310년–1331년)
아부 사이드 우스만 2세(1276년 12월 – 1331년 8월)는 마리니드 왕조 출신의 모로코 술탄이다. 그는 아부 야쿱 유수프 안-나스르의 아들이며, 1310년 11월부터 1331년 8월까지 재위하였다.5. 10. 아부 알-하산 알리 이븐 우스만 (1331년–1348년)
'''아부 알-하산 알리 이븐 우스만''' (1297년 ~ 1351년)은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1331년 8월부터 1348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그는 전임 술탄인 아부 사이드 우스만 2세의 아들이다.5. 11. 아부 이난 파리스 (1348년–1358년)
아부 이난 파리스(Abu Inan Faris, 1329년 ~ 1358년 1월 10일)는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아부 알-하산 알리 이븐 우스만의 아들이다. 그는 1348년부터 1358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5. 12. 아부 바크르 이븐 파리스 (1358년-1359년)
아부 바크르 이븐 파리스는 마리니드 왕조 출신으로, 1358년부터 1359년까지 모로코의 술탄이었다. 그는 1359년에 사망했다.5. 13. 이브라힘 이븐 알리 (1359년-1361년)
마리니드 왕조 출신으로 1335년에 태어나 1361년에 사망했다. 1359년부터 1361년까지 모로코의 술탄으로 재위했다.5. 14. 타슈핀 이븐 알리 (1361년-1362년)
'''타슈핀 이븐 알리'''(1329년 ~ 1362년)는 마리니드 왕조 소속으로, 1361년부터 1362년까지 모로코의 술탄이었다.5. 15. 무함마드 2세 이븐 파리스 (1362년-1366년)
'''무함마드 2세 이븐 파리스''' (1338년 ~ 1366년)는 마리니드 왕조의 모로코 술탄으로, 1362년부터 1366년까지 재위했다. 일부 기록에서는 '''아부 사이얀 무함마드 3세'''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5. 16.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1세 (1366년-1372년)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1세(1349년 ~ 1372년)는 마리니드 왕조 출신으로, 1366년부터 1372년까지 모로코의 술탄이었다. 그의 아들인 무함마드 3세 이븐 압드 알-아지즈가 그의 뒤를 이었다.5. 17. 무함마드 3세 이븐 압드 알-아지즈 (1372년-1374년)
무함마드 3세 이븐 압드 알-아지즈(1368년 ~ 1374년)는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1372년부터 1374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렸다. 그는 전임 술탄인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1세의 아들이었다.5. 18.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알-무스탄시르 (1374년–1393년)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알-무스탄시르'''(? ~ 1393년)는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1374년부터 1393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그는 전임 술탄인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1세의 아들이다.5. 19. 무사 이븐 파리스 알-무타와킬 (1384년–1386년)
'''무사 이븐 파리스 알-무타와킬'''은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1384년부터 1386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전 술탄 아부 이난 파리스의 아들이며, 장애가 있었다. 1386년에 사망했다.5. 20.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 알-와티크 (1386년–1387년)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1386년부터 1387년까지 단 1년 동안 모로코를 통치하였다. 1387년에 사망하였다.5. 21. 압드 알-아지즈 2세 이븐 아흐마드 2세 (1394년-1396년)
'''압드 알-아지즈 2세 이븐 아흐마드 2세'''(1375년 ~ 1396년)는 마리니드 왕조 출신의 모로코 술탄이다. 그는 1394년부터 1396년까지 재위했다.5. 22. 압달라 이븐 아흐마드 2세 (1396년–1398년)
압달라 이븐 아흐마드 2세(1378년 ~ 1398년)는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1396년부터 1398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그는 자신의 형제인 아부 파리스 압둘 아지즈 2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5. 23. 아부 사이드 우스만 3세 (1398년–1420년)

아부 사이드 우스만 3세(1383년 – 1420년 10월 21일)는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으로, 1398년 3월 19일부터 1420년 10월 21일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그는 그의 형제인 압달라 이븐 아흐마드 2세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의 사후 압드 알-하크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5. 24. 압드 알-하크 2세 (1420년–1465년)
압드 알-하크 2세(1419년 ~ 1465년 8월 14일)는 마리니드 왕조의 마지막 술탄이다. 재위 기간은 1420년 10월부터 1465년 8월 14일까지였다.6. 와타시드 왕조 (1472년–1554년)
와타스 왕조는 베르베르족이 세운 왕조로, 1472년부터 1554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아부 압달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 | 1472년–1504년 | 와타스 왕조 첫 번째 술탄 |
아부 압달라 알-부르투칼리 무함마드 이븐 무함마드 | 1504년–1526년 | |
아부 알-하산 아부 하산 알리 이븐 무함마드 | 1526년 | |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 1526년–1545년 | |
나시르 아드-딘 알-카스리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 | 1545년–1547년 | |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 1547년–1549년 | 복위 |
알리 아부 하순 | 1549년–1554년 | 와타스 왕조 마지막 술탄 |
6. 1. 아부 압달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 (1472년–1504년)
'''아부 압달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1472년 ~ 1504년)는 1472년부터 1504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린 와타스 왕조의 첫 번째 술탄이다. 3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2. 아부 압달라 알-부르투칼리 무함마드 이븐 무함마드 (1504년–1526년)
아부 압달라 알-부르투칼리 무함마드 이븐 무함마드(1464년 ~ 1536년)는 와타스 왕조의 술탄으로, 1504년부터 1526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모로코의 첫 번째 와타스 왕조 술탄인 아부 압달라 알-셰이크 무함마드 이븐 야흐야의 아들이다.6. 3.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1526년–1545년)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는 모로코의 와타스 왕조 세 번째 술탄이다. 그는 1526년부터 1545년까지 재위했으며, 이후 나시르 앗 딘 알-카스리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1545년-1547년 재위)에게 잠시 술탄 자리를 내주었다. 1547년에 복위하여 1549년 사망할 때까지 다시 통치하였다.6. 4. 나시르 아드-딘 알-카스리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 (1545년–1547년)
나시르 아드-딘 알-카스리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는 모로코의 네 번째 와타스 왕조 술탄이다. 1545년부터 1547년까지 재위하였으며, 1547년에 사망하였다.6. 5. 알리 아부 하순 (1549년–1554년)
'''알리 아부 하순'''(? ~ 1554년 9월)은 모로코의 다섯 번째 와타스 왕조 술탄으로, 1549년부터 1554년까지 재위하였다.7. 사디 왕조 (1544년–1659년)
군주 | 원어 이름 | 재위 기간 | 생몰년 | 비고 |
---|---|---|---|---|
무함마드 알-셰이크 | محمد الشيخ|무함마드 아쉬-셰이크ara | 1544년 ~ 1557년 10월 23일 | 1490년 ~ 1557년 10월 23일 (67세) | 아흐마드 알 아라지의 형제. (암살) |
압달라 알-갈리브 | عبد الله الغالب|압달라 알-갈리브ara | 1557년 ~ 1574년 1월 22일 | 1517년 ~ 1574년 1월 22일 (57세) | 무함마드 알-셰이크의 아들. |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2세 | أبو عبد الله محمد|아부 압달라 무함마드ara | 1574년 ~ 1576년 | ? ~ 1578년 8월 4일 | 압달라 알-갈리브의 아들. (폐위) |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1세 | عبد الملك الأول|압드 알말리크 알 아왈ara | 1576년 ~ 1578년 | ? ~ 1578년 8월 4일 | 무함마드 알-셰이크의 아들. (폐위) |
아흐마드 알-만수르 | أحمد المنصور|아흐마드 알-만수르ara | 1578년 ~ 1603년 8월 25일 | 1549년 ~ 1603년 8월 25일 (54세) | 무함마드 알-셰이크의 아들. |
내란 시기 (1603년–1627년) | ||||
아부 파리스 압달라 | أبو فارس عبد الله|아부 파리스 압달라ara | 1603년 ~ 1608년 | 1564년 ~ 1608년 (44세) | 아흐마드 알-만수르의 아들. (마라케시에서 통치) |
무함마드 에쉬 셰이크 엘 마문 | محمد الشيخ المأمون|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엘-마문ara | 1603년 ~ 1613년 | 1566년 ~ 1613년 (47세) | 아흐마드 알-만수르의 아들. (페스에서 통치) |
지단 아부 마알리 | زيدان الناصر|지단 엘-나시르ara | 1603년 ~ 1627년 9월 | ? ~ 1627년 9월 | 아흐마드 알-만수르의 아들. (마라케시에서 통치) |
압달라 알-갈리브 2세 | عبد الله الغالب|압달라 알-갈리브ara | 1606년 ~ 1623년 | ? ~ 1623년 | 무함마드 에쉬 셰이크 엘 마문의 아들. (페스에서 통치, 폐위) |
압드 알-말리크 이븐 압달라 | عبد الملك بن عبد الله|압드 알-말리크 이븐 압달라ara | 1623년 ~ 1627년 2월 | ? ~ 1627년 | 압달라 알-갈리브 2세의 아들. (페스에서 통치, 폐위) |
통일 정권 (1627년–1659년) | ||||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2세 | أبو مروان عبد الملك|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ara | 1627년 ~ 1631년 | ? ~ 1631년 | 지단 아부 마알리의 아들. (암살) |
알 왈리드 벤 지단 | الوليد بن زيدان|알 왈리드 빈 지단ara | 1631년 ~ 1636년 | ? ~ 1636년 | 지단 아부 마알리의 아들. (암살) |
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 | محمد الشيخ الصغير|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ara | 1636년 ~ 1655년 1월 30일 | ? ~ 1655년 1월 30일 | 지단 아부 마알리의 아들. (암살) |
아흐마드 알-아바스 | أحمد العباس|아흐마드 알-아바스ara | 1655년 ~ 1659년 | ? ~ 1659년 | 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의 아들. (암살) |
7. 1. 무함마드 알-셰이크 (1544년–1557년)
무함마드 알-셰이크 محمد الشيخ|무함마드 아쉬-셰이크ara (1490년 ~ 1557년 10월 23일)는 사디 왕조 출신으로, 1544년부터 1557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린 군주이다. 그는 아흐마드 알 아라지의 형제이기도 하다. 1557년 10월 23일, 향년 67세의 나이로 암살당했다.7. 2. 압달라 알-갈리브 (1557년–1574년)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무함마드 알-셰이크의 아들이다. 1517년에 태어나 1574년 1월 22일에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1557년부터 1574년까지였다. 원어 이름은 عبد الله الغالب|압달라 알갈리브ara이다.7. 3.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2세 (1574년–1576년)
'''아부 압달라 무함마드 2세'''(أبو عبد الله محمد|아부 압달라 무함마드ar)는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압달라 알-갈리브의 아들이다. 1574년부터 1576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으나 폐위되었다. 그는 1578년 8월 4일에 사망했다.7. 4.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1세 (1576년–1578년)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1세'''(عبد الملك الأول|압드 알말리크 알 아왈ara)는 사디 왕조 출신으로 1576년부터 1578년까지 모로코를 다스린 술탄이다. 그는 무함마드 알-셰이크의 아들이었다. 그는 1578년에 폐위되었고, 같은 해 8월 4일에 사망했다.7. 5. 아흐마드 알-만수르 (1578년–1603년)
'''아흐마드 알-만수르'''(أحمد المنصور|아흐마드 알-만수르ara, 1549년 ~ 1603년 8월 25일)는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1578년부터 1603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그는 무함마드 아쉬-셰이크의 아들이다.7. 6. 아부 파리스 압달라 (1603년–1608년, 마라케시에서 통치)
'''아부 파리스 압달라'''(أبو فارس عبد الله|아부 파리스 압달라ara, 1564년 ~ 1608년)는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아흐마드 알-만수르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 아흐마드 알-만수르 사후 시작된 모로코의 계승 분쟁 시기인 1603년부터 1608년까지 마라케시를 중심으로 통치했다. 이 시기 모로코는 여러 경쟁 세력으로 분열되었는데, 아부 파리스 압달라는 마라케시에서 그의 형제인 지단 엘-나시르와 경쟁했으며, 또 다른 형제인 무함마드 에쉬 셰이크 엘 마문은 페스를 중심으로 세력을 형성했다. 아부 파리스 압달라는 1608년 4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7. 무함마드 에쉬 셰이크 엘 마문 (1603년–1613년, 페스에서 통치)
사디 왕조의 술탄 아흐마드 알 만수르가 1603년에 사망한 후, 그의 아들들은 왕위를 놓고 다투었다. 이 과정에서 모로코는 두 개의 주요 세력으로 나뉘었다.- 마라케시 정권:
- 아부 파리스 압달라(1603년 - 1608년)
- 지단 아부 마알리(1608년 - 1627년)
- 페스 정권:
- 무함마드 에쉬 셰이크 엘 마문(1604년 - 1613년)
- 압둘라 2세(1613년 - 1623년)
- 압드 엘 마레크(1623년 - 1627년)
이후 1627년, 압드 엘 말리크 2세가 페스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내전이 잠시 중단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짧았다. 1631년부터 1659년까지는 알 왈리드와 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가 차례로 통치하였으며, 이 시기에도 왕조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였다. 1659년, 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의 아들 아흐마드 엘 아바스가 마지막 사디 왕조의 술탄이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짧았고 이후 왕조는 멸망하였다.
7. 8. 지단 아부 마알리 (1603년–1627년, 마라케시에서 통치)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아흐마드 알-만수르의 아들이다. زيدان الناصر|지단 엘-나시르ar라고도 불린다. 1603년 아버지 아흐마드 알-만수르가 사망한 후 시작된 사디 왕조 내란 시기에, 그는 마라케시를 중심으로 1603년부터 1627년까지 통치했다. 같은 시기 페스에서는 그의 형제인 무함마드 에쉬 셰이크 엘 마문(1604년-1613년)과 조카 압달라 알-갈리브 2세(1613년-1623년), 압드 엘 마레크(1623년-1627년) 등이 각자 술탄을 칭하며 경쟁했다. 지단 아부 마알리는 1627년 9월에 사망했다.7. 9. 압달라 알-갈리브 2세 (1606년-1623년, 페스에서 통치)
압달라 알-갈리브 2세(عبد الله الغالب|압달라 알갈리브ara)는 사디 왕조의 군주로, 무함마드 에쉬 셰이크 엘 마문의 아들이다. 그는 페스에서 1606년부터 1623년까지 통치했으며, 1623년에 폐위되고 같은 해 사망했다.7. 10. 압드 알-말리크 이븐 압달라 (1623년–1627년, 페스에서 통치)
'''압드 알-말리크 이븐 압달라'''(عبد الملك بن عبد اللهara , ? ~ 1627년)는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1623년부터 1627년 2월까지 페스를 중심으로 통치했다. 그는 압달라 알-갈리브 2세의 아들이었다. 1627년 2월 폐위되었고 같은 해 사망했다.7. 11.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2세 (1627년–1631년)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리크 2세( أبو مروان عبد الملكara )는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지단 엘-나시르의 아들이다. 1627년부터 모로코를 통치하였으나 1631년 암살되었다.7. 12. 알 왈리드 벤 지단 (1631년–1636년)
'''알 왈리드 빈 지단'''(الوليد بن زيدان|알 왈리드 빈 지단ara)은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지단 엘-나시르의 아들이다. 그는 1631년부터 1636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으며, 1636년에 암살당하며 생을 마감했다.7. 13. 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 (1636년–1655년)
'''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محمد الشيخ الصغيرara)는 사디 왕조의 술탄으로, 지단 엘-나시르의 아들이다. 그는 1636년부터 1655년 1월 30일 암살될 때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7. 14. 아흐마드 알-아바스 (1655년–1659년)
'''아흐마드 알-아바스'''(أحمد العباس|아흐마드 알-아바스ara)는 사디 왕조의 군주로, 1655년부터 1659년까지 모로코를 통치했다. 그는 전임 군주인 무함마드 에쉬-셰이크 에스-세그히르의 아들이다. 1659년에 암살당하며 통치를 마감했다.8. 알라위 왕조 (1631년–현재)
(1589년 ~ 1659년)
(1630년 ~ 1664년)
(1631년 ~ 1672년)
(1645년 ~ 1727년)
(1677년 ~ 1729년)
(1차 재위)
(1696년 ~ 1729년)
(1677년 ~ 1729년)
(2차 재위)
(1678년 ~ 1757년)
(1차 재위)
(? ~ 1737년)
(1678년 ~ 1757년)
(2차 재위)
(1694년 ~ 1739년?)
(? ~ 1759년)
(1차 재위)
(1678년 ~ 1757년)
(3차 재위)
(1692년 ~ 1762년)
(1678년 ~ 1757년)
(4차 재위)
(? ~ 1759년)
(2차 재위)
(1678년 ~ 1757년)
(5차 재위)
(? ~ 1759년)
(3차 재위)
(1678년 ~ 1757년)
(6차 재위)
(1710년 ~ 1790년)
(1750년 ~ 1792년)
(1760년 ~ 1822년)
(1778년 ~ 1859년)
(1802년 ~ 1873년)
(1836년 ~ 1894년)

(1878년 ~ 1943년)

(1876년 ~ 1937년)
(1882년 ~ 1927년)
(1909년 ~ 1961년)
(1차 재위)
(1886년 ~ 1976년)
(1909년 ~ 1961년)
(2차 재위)